로즈메리 갈런드 톰슨 '무엇이 장애인가'
- 2023년 11월 13일
- 2분 분량
최종 수정일: 2023년 11월 13일
by BILC SI
- 현) 에모리대 영문학·생명윤리학과 교수
- 국제생명윤리학회 조직위원, 2017~
- 장애 연구학회 선임학자상, 2010
- '세상을 바꾸는 50명의 비전가' 선정 (Utne Reader), 2009
- 저서: 『쳐다보기: 우리는 남을 어떻게 보는가』, 『보통이 아닌 몸』
로즈메리 갈런드-톰슨(Rosemarie Garland-Thomson)은 에모리 대학교 영문학·생명윤리학 교수이자 미국의 생명윤리학 연구기관인 ‘헤이스팅스 센터'의 수석 자문으로, 장애인 권리와 포용을 위해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태어날 때부터 손가락이 여섯 개였고 한쪽 팔이 짧았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과 달리, 전 세계적으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상당히 많습니다. 미국 질병 통제 예방 센터에서는 미국 성인 중 약 20% 이상이 장애가 있다고 추산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인구의 약 5.2%인 265.3만 명이 등록장애인입니다. WHO에서는 세계 인구의 16%인 13억 명이 장애를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인구, 환경, 의료 과학의 변화로 새로운 장애유형이 생겨나며 장애인의 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장애”라는 단어에는 ‘할 수 없다’는 부정적인 의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미쳤어?' 나 '귀가 먹었니?'와 같은 표현들은 타인을 비하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이런 표현들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평가절하하고 깎아내려 피해를 줍니다. 당사자 스스로가 장애인으로 규정되는 것을 거부하고 장애인으로서 누려야 할 보호와 혜택을 누리지 못하게 만듭니다. 장애인은 가장 큰 소수 집단 중 하나이지만, 여전히 많은 사회에서 낙인찍히고 차별을 받고 있습니다. "장애"라는 단어와 관련된 부정적 함의는 장애인이 무능하거나 부족하다는 인식을 갖게 합니다. 이러한 인식은 장애인이 자신의 권리를 옹호하고 누려야 할 사회적, 제도적 혜택을 받는 데 방해가 됩니다.
장애에 대한 인식은 역사적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18세기와 19세기에는 다리나 팔이 없이 태어난 개인들이 오락 산업에서 일자리를 찾았습니다. "기형 인간쇼"의 개념은 착취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장애인이 일자리를 얻고 사회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그러나 20세기 초 "기형 인간쇼"의 인기는 우생학의 부상으로 인해 감소했습니다. 우수한 유전자의 기준을 만들기 위한 우생학은 독일의 나치 정권에 의해 장애인에 대한 박해로 이어졌습니다. 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장애인을 차별적 대우로부터 보호하고 온전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법률과 정책이 수립되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우리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어떻게 개선하고, 장애인의 권리를 어떻게 증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개인이 장애 포용을 위해 취할 수 있는 구체적인 노력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동체를 위한 노력 1: 장애인의 권리를 보호하는 법과 정책에 익숙해지세요. 이러한 법을 이해함으로써 자신과 타인을 옹호할 수 있습니다.
공동체를 위한 노력 2: 인간을 환경에 맞추는 관행에서 벗어나 환경을 인간에 맞게 조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세요. 환경, 태도, 인간관계, 일 처리 방법, 직장과 학교 내 관행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장애인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 수 있습니다.
공동체를 위한 노력 3: 접근성 문제를 인지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책임 있는 자세로 실행에 옮기세요. 깨진 경사로든 접근 불가능한 건물이든, 목소리를 내어 변화를 요구하세요.
공동체를 위한 노력 4: 생활의 모든 측면에서 포용적 환경을 만들어야 합니다. 장애인 커뮤니티를 지원하고, 장애 역사와 문화에 대해 배우며, 포용적인 환경을 만드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하세요.
공동체를 위한 노력 5: 장애인 리더를 양성해야 합니다. 교육, 경제, 사회 혜택에 접근하여 삶을 개선하고 사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장려하세요.
이러한 노력들을 통해 우리는 장애인을 위한 더 포용적이고 공정한 세상을 함께 만들어 갈 수 있습니다. 장애는 인간 경험의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우리 모두에게 중요합니다. 우리 모두 나이가 들면 장애를 가지게 되며, 모든 가족과 모든 삶에는 장애가 있습니다. 장애 포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장애인의 권리와 복지를 적극적으로 옹호함으로써, 우리는 다양성을 포용하고 모든 개인이 번영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 수 있습니다.